-
목차
"내가 마시는 물, 과연 안전할까?"
우리는 매일 물을 마시고, 씻고, 요리하면서도 그 물이 어떤 상태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지하수나 지역 상수도를 사용하는 경우, 정기적인 수질 정보 확인이 매우 중요합니다.‘물환경정보시스템’을 이용하면 우리 동네 수질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복잡한 설치나 회원가입 없이, 인터넷만 있으면 바로 확인 가능!✅ ‘물환경정보시스템’이란?
- 운영기관: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
- 웹사이트 주소: http://www.water.nier.go.kr
- 기능: 전국 하천, 호수, 지하수, 정수장 등 수질 데이터를 실시간 공개
조회 가능한 항목 예시
- 지하수 수질 측정망
- 하천 및 호소 수질 상태
- 상수도 정수장/취수장 수질 정보
- 수질 등급, 오염물질 농도, 연도별 수질 이력 비교
🧭 우리 동네 수질 정보 조회 방법 (STEP-BY-STEP)
✔️ 1단계: 사이트 접속
- 포털 사이트에서 “물환경정보시스템” 검색
- 또는 URL 입력: http://www.water.nier.go.kr
- 💡 모바일에서도 가능하지만, PC에서 더 편리하게 이용 가능
✔️ 2단계: 수질 관련 메뉴 선택
상단 메뉴 중에서 원하는 항목 선택
- 지하수 수질측정망: 우물, 관정 등 지하수 확인
- 하천 수질측정망: 지역 하천, 호소 수질 상태 확인
- 정수장/취수장 수질정보: 수도꼭지로 들어오는 수돗물 상태 확인
👉 확인하고 싶은 수질 정보에 따라 메뉴 선택
✔️ 3단계: 지역 검색 및 결과 조회
- 시·도, 시·군·구 지역 선택 또는 주소 검색
- 해당 지역 수질 측정소 리스트 또는 지도에서 확인
- 측정소 클릭 시 항목별 수질 수치, 수질 등급, 검사일자 제공
- 📊 수질 변화 추이도 그래프 형식으로 확인 가능
✔️ 4단계: 수질 수치 해석하기
수질 항목 주요 기준 설명 안전 기준값질산성질소 비료, 축분 등에서 유래되는 대표 오염물질 10mg/L 이하 대장균 검출 시 병원균 우려, 식수 부적합 불검출 (0) 철/망간 자연 발생 가능, 고농도 시 이물감 유발 기준 초과 시 주의 총경도, 색도 등 물의 경도와 색상에 따른 안전성 항목별 기준 상이 수질 측정 작업 💡 수질등급 기준 (환경부 기준)
총 5등급 (1~5등급)으로 나뉘며, 등급별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등급상태 설명 권장 사항1등급 매우 좋음 – 음용 가능 안전하게 사용 가능 2등급 좋음 – 전반적으로 양호 대부분 용도에 적합 3등급 보통 – 일부 항목 주의 필요 정수기 사용 권장 4등급 나쁨 – 수질 오염 우려 있음 생활용수 사용 주의 5등급 매우 나쁨 – 오염 심각 사용 중단 및 조치 필요 📌 수질 정보를 꼭 확인해야 하는 이유
- 지하수나 정수장이 가깝더라도 수질은 지역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비, 홍수, 침수 후에는 수질 변화 가능성 높아짐
- 유아, 노약자, 면역저하자 등은 오염에 더 민감하게 반응
- 사전 확인을 통해 정수 처리나 필터 교체 시점 판단 가능
✅ 수질이 나쁠 경우 대처법
- 지자체에 수질 검사 재요청 (특히 지하수 사용 시)
- 정수기 필터 강화, 교체 또는 RO필터 도입 고려
- 주변 오염원 점검 (정화조, 퇴비, 농약 보관 등)
- 지하수보전구역 해당 여부 확인 및 행정 지원 문의
✨ 맺음말
💡 우리 동네 수질, 이제는 직접 확인하세요!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은 누구나 무료로 수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신뢰도 높은 플랫폼입니다.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수질 변화에 맞춰 안전하게 물을 사용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건강한 삶의 첫걸음입니다.'환경과 쓰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텀블러, 왜 안 쓰게 되는지 아세요? 오래 쓰고 싶다면, ‘세척’보다 ‘습관’을 챙기세요 (0) 2025.04.14 운동화 수명 2배 늘리는 진짜 관리법! 세척보다 중요한 건 ‘매일의 습관’입니다 (0) 2025.04.13 복합재질 포장 올바른 분리배출법 (0) 2025.04.11 오래 입은 가죽 자켓, 그냥 버려도 될까요? 가죽 의류 올바른 폐기 방법과 재활용 팁 (0) 2025.04.10 천연 청소법 폐기물 문제와 제로웨이스트 실천을 위한 현실적 방안 (0)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