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iyoimuyoi 님의 블로그

환경과 관련한 전반적 주제를 다루면서 특히 우리 주변의 쓰레기 문제를 집중해서, 오늘을 사는 우리가 조금만 신경쓰면 다음 세대에 좋은 생활 터전을 물려줄 수 있는 생활 속에서 지켜야 할 지혜 등을 함께 생각하고 알아가는 블로그 입니다.

  • 2025. 4. 15.

    by. yoiyoimuyoi

    목차

      분리배출을 하려고 김 봉지를 들었는데, 이게 과연 플라스틱일까? 종이일까? 고민해본 적 있으시죠?
      요거트 뚜껑처럼 반짝이는 은박 포장도, 컵라면 용기도 “보기엔 종이 같은데” 제대로 분리배출하려면 애매할 때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대부분의 식품 포장재는 단일 재질이 아니라, 둘 이상의 재질이 혼합된 ‘복합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이에요.

      문제는 이걸 잘못 분리하면 주변 재활용 쓰레기까지 오염시켜버린다는 점.
      따라서 "어떻게 버릴까?"보다 먼저 “이건 무슨 재질일까?”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부터 자주 헷갈리는 식품 포장을 항목별로 정리해드릴게요.


      플라스틱일까? 종이일까?헷갈리는 식품 포장, 제대로 정리
      다양한 포장재 상품들

       

      식품 포장별 재질과 처리법

      [김, 과자]

      • 포장 형태: 은박 포장
      • 주요 재질: PET + 알루미늄 증착
      • 재활용 가능 여부: ❌ 불가능
      • 처리 팁: 종량제 봉투에 일반쓰레기로 버리세요

      [요거트]

      • 포장 형태: 플라스틱 컵 + 은박 뚜껑
      • 주요 재질: PP 컵 / 알루미늄 뚜껑
      • 재활용 가능 여부: ⭕ 컵 가능 / ❌ 뚜껑 불가
      • 처리 팁: 뚜껑 제거 후 컵만 세척하여 분리배출

      [즉석밥 용기]

      • 포장 형태: 플라스틱 용기 + 얇은 필름
      • 주요 재질: PP + PET
      • 재활용 가능 여부: ❌ 대부분 불가
      • 처리 팁: 세척 후 종량제 봉투에 버리는 게 안전

      [냉동만두, 햄]

      • 포장 형태: 플라스틱 필름 + 은색 반짝이 코팅
      • 주요 재질: 복합재질
      • 재활용 가능 여부: ❌ 불가능
      • 처리 팁: 일반쓰레기로 버려주세요

      [두부 용기]

      • 포장 형태: 플라스틱 통
      • 주요 재질: PS (스티로폼)
      • 재활용 가능 여부: ⭕ 가능
      • 처리 팁: 깨끗이 세척 후 분리배출 가능

      [샐러드 포장]

      • 포장 형태: 투명 플라스틱 용기
      • 주요 재질: PET
      • 재활용 가능 여부: ⭕ 가능
      • 처리 팁: 물로 헹군 후 투명 페트 전용함에 배출

      [컵라면]

      • 포장 형태: 종이컵 + 알루미늄 뚜껑
      • 주요 재질: 종이 + PE 코팅, 알루미늄
      • 재활용 가능 여부: ❌ 대부분 불가
      • 처리 팁: 종량제 봉투에 버리세요

      [우유팩 (일반/멸균)]

      • 포장 형태: 종이팩
      • 주요 재질: 종이 + PE 코팅
      • 재활용 가능 여부: ⭕(일반) / △(멸균)
      • 처리 팁: 종이팩 전용 수거함에 배출, 멸균팩은 지역별 기준 확인

      [테이크아웃 커피]

      • 포장 형태: 종이컵 + 플라스틱 뚜껑
      • 주요 재질: 종이 + PE / PP 뚜껑
      • 재활용 가능 여부: 컵 ❌ / 뚜껑 ⭕
      • 처리 팁: 컵은 일반쓰레기, 뚜껑은 분리배출

      [아이스크림 포장]

      • 포장 형태: 인쇄 비닐 + 금속 코팅
      • 주요 재질: 복합재질
      • 재활용 가능 여부: ❌ 불가능
      • 처리 팁: 일반쓰레기로 버리세요

      [비닐봉투]

      • 포장 형태: 얇은 비닐
      • 주요 재질: LDPE / HDPE
      • 재활용 가능 여부: ⭕ 가능
      • 처리 팁: 물기 제거 후 분리배출

      [계란판]

      • 포장 형태: 재생 펄프
      • 주요 재질: 종이
      • 재활용 가능 여부: ⭕ 가능
      • 처리 팁: 깨끗하면 종이류로 배출

      [육류 트레이]

      • 포장 형태: PET + 스티로폼 혼합
      • 주요 재질: 복합재질
      • 재활용 가능 여부: △ 지역에 따라 상이
      • 처리 팁: 일부 지자체에서 트레이 전용 수거함 운영

      🧽 재질별 분리배출 주의사항 한눈에 정리

      • 은박 포장: 반짝이는 포장은 대부분 재활용 불가 → 일반쓰레기
      • 코팅 종이: 종이컵, 컵라면 용기 등 내부 코팅 → 재활용 어려움
      • PET 투명 용기: 라벨 제거 + 세척 시 재활용 가능
      • 스티로폼: 기름기 없고 깨끗해야 재활용 가능
      • 복합 필름류: 투명해 보여도 다중소재는 소각 처리

       자주 묻는 질문 Q&A

      Q. 종이처럼 보이는 컵라면 용기, 왜 재활용이 안 되나요?
      → 내부에 방수 코팅(PP, PE 등)이 되어 있어 재활용 설비에서 분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Q. 요거트 뚜껑은 왜 안 되는 건가요?
      → 알루미늄 뚜껑은 크기가 작고 얇아 자동 선별기에 걸리지 않아 재활용되지 않습니다.

      Q. PET 투명 용기면 다 되는 거 아닌가요?
      → 아니요! 세척 후 라벨 제거까지 해야 가능하며, 색깔 있는 PET는 일반 플라스틱류입니다.

      Q. 우유팩은 종이인데 왜 전용 수거함이 필요한가요?
      → 종이팩은 일반 종이와 분리해 따로 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전용 수거함에 배출해야 재활용됩니다.

       

       

      📌 제품을 선택할 때
      ✔ 단일 재질인가?
      ✔ 재활용 마크가 있는가?
      ✔ 세척과 라벨 제거가 쉬운가?

      이 세 가지만 기억해도 분리배출 실천의 절반은 성공입니다.
      포장을 잘 고르는 소비자보다, 잘 버리는 소비가 더 친환경적이라는 사실, 기억해주세요!